2025년산 입고량 전년대비 증가 - 입고량 : 67만 4천톤(전년대비 2.9% 증가, 평년대비 3.1% 증가) - 출고량 : 5만 5천톤(전년대비 8.5% 감소, 평년대비 9.5% 증가) · 소비부진으로 입고(수매)가격 대비 시장가격 약세 등으로 저장업체의 양파 출하 전년대비 지연 - 재고량 : 61만 9천톤(전년대비 4.1% 증가, 평년대비 2.6% 증가) 2026년산 양파 재배의향면적 전년대비 감소 - 재배의향면적 : 17,017ha(전년대비 6.5% 감소, 평년대비 6.7% 감소) · 2025년산 수확기 가격 전년대비 큰 폭 하락, 생산비(인건비 등) 상승에 따른 수익성 약화, 변동성 커진 기상 여건 등으로 재배규모 축소, 작목 전환 의향 다수 ▷ 전남과 제주지역에서는 양배추, 영남지역은 마늘로 작목 전환 의향 증가 ▷ 8월호 조사결과(전년대비 5.3% 감소)대비 재배의향면적 감소 폭이 확대된 것은 산지 기대 대비 낮은 저장양파 가격, 중국산 수입양파 증가 등의 영향 · 다만, 양파 정식이 10-11월에 이루어져 파종기(통상 9-10월, 45일 내외 소요) 중 육묘의 상태, 정식기 기상 여건 등에 따라 향후 농가의 재배의향면적 변경 가능 |